윤석열 대통령은 6.25 전쟁 정전 70주년을 맞은 27일에 "오늘의 대한민국은 유엔군의 희생과 헌신, 피 묻은 군복 위에 서 있다"라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저녁 부산 해운대 영화의 전당에서 개최된 '유엔군 참전의 날. 정전협정 70주년 기념식'에 참석해 이같이 언급했다.
윤석열 대통령, 유엔군 참전의 날. 정전협정 70주년 기념식 참석
윤 대통령은 "유엔군 여러분의 희생과 헌신으로 공산 전체주의 세력으로부터 자유를 지켜낼 수 있었다. 전쟁의 참혹한 상처와 폐허를 딛고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바탕으로 눈부신 성장과 번영을 이루었다"라고 부연했다. 윤 대통령은 22개 구 195만 명의 유엔군이 참전해 미군 3만 7천여 명 등 4만 1천 명이 전사하고 11만 명이 다치거나 포로가 됐다는 점을 상기했다.
윤석열 대통령, 우리들의 진정한 영웅
윤대통령은 "73년 전, 자유세계의 수많은 젊은이가 '하나의 유엔 깃발 아래' 전혀 알지도 못하는 나라, 대한민국 자유를 지키기 위해 달려왔다. 유엔군 참전 용사 여러분은 가장 꽃다운 나이에 자유를 수호하기 위해 자신의 모든 것을 바친 우리들의 진정한 영웅"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대한민국은 어려움에 처했을 때 목숨을 걸고 달려와 준 우방국들에 대한 고마움을 잊지 않을 것이다. 여러분의 고귀한 희생을 결코 잊지 않겠다"라고 약속했다. 그리고, "1953년 정전협정 체결 후 70년이 지난 지금도 유엔군 사량부는 한반도 평화를 지키고 대한민국을 수호하는 핵심적 역할을 다하고 있다"라며 유엔사 역할도 부각했다.
유엔군 사령부는 한반도유사시 유엔 깃발 아래 우리 우방국들이 즉각적 군사 지원을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전쟁 수행에 필수적인 유엔사 후방 기지 7곳을 자동으로 확보하는 플랫폼이라며 자유를 위해 연해하겠다는 국제사회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각별하다고 강조했다.
윤석열 대통령, 유엔군 참전용사 추모
윤 대통령은 기념식이 치러진 영화의 전당이 유엔군 주력 비행장이었다는 점을 언급하며 "부산은 전쟁 중 임시 수도로서 대한민국 안보의 최후 보루였다"라고 설명했다. 부산 남구 대연동 유엔기념공원에 11개국 2천320명의 유엔군 참전 용사들이 잠들어 있는 점을 언급하며 "자유 대한민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유엔군 참전 용사들의 넋은 추모하며 깊은 경의를 표한다"라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정전협정 70주년을 맞은 27일 유엔 참전국 정부대표단과 함께 부산 유엔기념공원을 찾아 참배했다. 세계 유일의 유엔군 모지인 부산 유엔기념공원은 유엔군 소속으로 싸운 국군 장병 36명을 비롯해 미국. 영구. 호주. 캐나다. 프랑스. 티르키에. 네덜란드. 노르웨이. 남아공 등의 전몰장병 2천320명의 유해가 안장돼 있다.
윤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는 이날 오후 데임 신디 키로 뉴질랜드 총독 부부, 자비에 베텔 룩셈부르크 총리, 조이 사쿠라이 주한미국대사대리, 맷 키오 호주 보훈부 장관, 패트리샤 미랄레스 프랑스 보훈담당 국무장관, 대럴 심슨 캐나다 보훈부 정무차관 등 24개국 대표단 50여 명과 함께 참배했다.
이날, 방명록에는 '유엔군 참전용사들의 희생과 헌신은 대한민국 자유와 번영의 초석'이라고 적었다. 현직 대통령 내외로는 첫 참배를 했다.
윤석열 대통령의 북한과 관계에 대한 기조를 알아볼 수 있다. 연신 전쟁에 관련한 영웅들께 참배하고 위로하고 있다. 물론 바람직한 행동은 맞다고 본다. 하지만, 일본과의 관계와 같이 과거의 사로잡혀 미래를 설계할 수 없어서는 안 된다. 이런 행보는 괜찮다고 생각은 하지만, 조금만 야당과 북한에게는 호의적인 모습을 보여줬으면 한다.
야당은 대표를 만나주기만 해도 어느 정도의 성과가 있다고 생각하고 북한은 일부 조금은 다가가서 인도적 차원의 지원을 조금이라도 해줬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그렇게 나아가고 조금씩 조금씩 해법을 찾아간다면 정말 대한민국의 대통령으로서 아니 역대의 성군으로 발전할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