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개방한 서울 용산어린이정원에서 제공한 어린이 색칠놀이가 윤석열 대통령 부부의 실물 이미지를 본뜬 모습으로 제작돼 도마에 올랐다. 일각에서 '대통령 우상화'라는 지적이 나오자 대통령실이 "원하는 사람만 하는 것"이라는 해명까지 나왔다. 그런데, 과연 이런 것도 정쟁으로 삼는 것인가?
윤석열 대통령. 김건희 여사, 색칠놀이.. 논란... 대통령 우상화?
지난 24일 여러 온라인 커뮤니티에 '용산 공원에서 아이들 색칠하라고 준 것'이라는 제목의 게시물이 공유됐다. 용산 어린이정원에서 받았다는 색칠놀이용 밑그림은 윤 대통령 부부가 강아지 여러 마리와 화기애애한 시간을 보내고 있는 모습이다. 과거 대통령실이 배포한 대통령 내외 모습을 그대로 본뜬 그림이다. 이밖에도 대통령 부부가 나란히 걷는 모습, 대통령이 아이들과 함께 걷는 사진 등이 색칠놀이 밑그림으로 제공된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사진을 처음 온라인에 올린 누리꾼은 아이들이 색칠한 색칠놀이 그림을 찍어 올리며 '미친 것들'이라고 첨언했다. 이를 본 누리꾼들은 "나 북한에 사는 거냐", "아이들 눈높이에 맞는 그림이면 좋겠다", "시대착오적인 것 아니냐" 등의 비판적인 목소리를 냈다.
대통령실의 해명, 1주년 기념. 하고 싶은 사람만 했다.
이 같은 비판에 대통령실 측은 당시 진행 중이었던 취임 1주년 기념전시의 일환으로 제공한 색칠놀이라고 해명했다. 특별전시인 '국민과 함께 시작한 여정'기간 중에 제공된 한시적 이벤트라는 것이다. 사진전에 전시한 이미지 일부를 색칠놀이로 만든 것이란 설명이다.
대통령실 측은 "대통령 1주년 기념 사진전으로 대통령의 외교. 국내 행보를 담은 사진을 전시하고, 사진에 있는 도안을 몇 개 둔 것이다. 현장에 그림이 없는 빈 도화지도 있다. 그리고 싶은 사람은 여래 개 중에 선택해서 하고 하기 싫은 사람은 안 하게 둔 것"이라고 해명했다.
용산어린이정원이란?
용산 어린이정원 관계자는 한 언론사에 "어린이 정원에서 색칠놀이를 제공한 것이 아니며, 용산 어린이 정원에 장소 사용신청이 들어와서 승인한 것이다. 우리와는 관련이 없고 현재는 색칠놀이를 제공하지 않고 있다"라고 밝혔다. 지난 5월 4일 어린이날을 하루 앞두고 개장한 용산어린이정원은 광복 이후 미군기지로 활용된 부지를 약 120년 만에 개방한 장소다. 공원 앞은 대통령실 청사가 있다.
대통령실 측은 "이번 개방을 통해 국민 속으로 더 가까이 다가가겠다는 대통령의 약속이 지켜졌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지금 산재되어 있는 문제와 일이 얼마나 많은데 아니 이런 것까지 정쟁에 삼는 다 말인가. 지금 이 시대에 저렇게 한다고 우상화가 되기나 하겠는가? 참으로 개탄스러운 마음이다. 고속도로, 교권침해 등 산재된 문제가 엄청난데 이런 것까지 정쟁으로 삼으면 어떻게 하는 것인가? 혹시 이거 일부러 다른 이슈를 숨기기 위해 이렇게 하는 것인가?
제발 이런 일은 없었으면 한다. 누가 저런다고 우상화가 되고, 그걸 누가 믿겠는가? 지금 21세기에... 정말 별 희한한 사람들이 많은 세상인듯하기는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