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회, 8월말 조기 종료..노인 폄하 문제.

'노인 폄하' 발언으로 설화를 겪은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회가 애초 9월까지 예정된 활동 기한을 당겨 8월 말에 조기 종료된다. 혁신위는 내주 초부터 약 2주에 걸쳐 여러 개의 혁신안을 발표한 후 활동을 종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말 한마디가 혁신위를 초도화 시킨 것이다.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회, 노인폄하 문제로 인한 조기종료예정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회 김은경 위원장이 노인폄하발언으로 사과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회 김은경 위원장이 노인폄하발언으로 사과하고 있다.

 

 

혁신위 관계자는 4일 한 언론사와의 통화에서 "되도록 다음 주, 그다음 주에 주요한 내용들을 발표하자고 이야기하고 있다. 내부적으로 이야기가 잘 진전되기도 했고, 빨리 발표를 하려고 했던 것도 있다"라고 설명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오는 16일부터 국회 임시회가 열리고 9월 1일부터는 정기 국회가 열린다. 최근 논란도 있고 하니 조기에 마무리하는 게 좋겠다는 내부 논의도 있었다"라고 전했다.

 

 

 

혁신위는 이르면 오는 8일에 간담회를 열고 대의원제 축소방안과 기득권 내려놓기 등에 관한 혁신안을 발표할 전망이다. 그리고, 혁신위는 전국을 돌며 진행할 예정이었던 당원 간담회도 잇달아 취소했다. 혁신위 관계자는 "오늘 예정됐던 충남 천안 당원 간담회를 취소한다. 7일과 8일에 각각 충북과 경기 지역 당원 간담회도 취소했다"라고 전했다.

 

 

 

 

혁신위원회, 전국 당원 간담회 취소결정, 문서작업에 집중

노인비하 발언으로 사과하는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장 김은경
노인비하 발언으로 사과하는 더불어민주당 혁신위원장 김은경

5일 오후 대전과 전북 전주에서 하려던 당원 간담회 역시 취소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혁신위는 지난 1일 인천, 2일 강원 춘천에서 당원 간담회를 마쳤다. 혁신위 관계자는 "다음 주에 혁신안 발표해야 하는데 페이퍼워크(문서 작업)에 시간이 오래 걸린다. 준비할 내용이 많다"라고 말했다.

 

 

 

 

혁신위의 조기 종료이유, 김은경 혁신위원장의 노인 폄하 발언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당대표와 혁신위원장 김은경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당대표와 혁신위원장 김은경

이러한 지역 일정 취소 결정은 김은경 혁신위원장의 '노인 폄하' 논란 발언으로 당사자는 물론 혁신위 전체가 비난의 대상이 된 상황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당내에서 조차 '혁신위 해체' 목소리가 나오는 가운데 '로키'로 위기를 돌파하려는 뜻으로도 읽힌다. 로키란 low-key 많은 이목을 끌지 않도록 억제, 절제한다는 뜻이다.

 

 

 

 

김은경 위원장의 노인 폄하발언 내용

김호일 대한노인회장에게 사과를 받고 면담을 하는 중 김은경 위원장의 사잔을 손을 때리며 노인분노를 표현하고 있다.
김호일 대한노인회장에게 사과를 받고 면담을 하는 중 김은경 위원장의 사잔을 손을 때리며 노인분노를 표현하고 있다.

김은경 위원장은 지난달 30일 청년과의 좌담회에서 아들과 한 대화를 소개하며 "자기 나이로부터 여명까지 비례적으로 투표해야 한다는 게 자기(아들) 생각이었다. 되게 합리적이지 않느냐"라고 말했다. 아울러 "민주주의 국가에서는 '1인 1표'라 현실적 어려움이 있지만 맞는 말이다. 왜 미래가 짧은 분들이 1대 1로 표결해야 하나"라고 했다.

 

 

 

국민의 힘의 비판과 김 위원장의 반성

여당은 이 발언을 '노인 비하'로 규정, "현대판 고려장"등으로 대대적으로 비판했다. 대한노인회 역시 김 위원장에게 사과를 요구했다. 결국 김 위원장은 전날 대한노인회를 찾아 사과한 뒤 기자들에게 "가벼운 언사를 하지 않도록 조심하겠다. 말을 삼가겠다"라고 말했다.

 


100% 틀린 말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해서 아직 일명 기득권을 가진 자가 할 말은 아니다. 가장 좋은 모습은 김종인 전 위원장님이나 대한노인회장님께서 그렇게 말씀하시면 가장 좋은 사례가 될 것인데, 관계없는 다른 분이 이런 말을 하면 당연히 비하, 폄하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 할지라도 대한노인회의 처신이 정당하다고 할 수도 없는 일이다. 사람 면전에 두고 김은경 위원장 사진에 뺨을 때리는 행위는 절대 어른의 행동이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로 인해 다시 역풍을 맞을 수는 있을 것이나 서로가 피해가 가기 때문에 참을 것이다.

 

 

 

역사를 잊은 나라에는 미래가 없다고 했던가. 그럼 역사는 누가 만드는 것인가. 기존 사람이 살아가면서 하루하루의 일상과 그의 기록이 역사이다. 그 역사를 만드는 사람이 먼저 산 사람이고.. 국가도 가정과 같다. 금이야 옥이야 키워온 자식들에게 자신의 모든 것을 주고 헌신짝과 같이 버림을 받아버리는 것. 지금 우리가 그 시대를 만들어가고 있는 것은 아닐까?